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5

셀프 인테리어(셀인), 턴키 인테리어, 샷시 업체 선정부터 완공까지 - 턴키 업체선정(4) 나는 와이프와 맞벌이고 인테리어 하는 집이 거주하는 집과 물리적 거리가 멀어서 턴키로 진행을 했다. 아파트를 매매했기 때문에 빚으로만 가득차있었기 때문에 인테리어는 매우 부담스러웠지만, 막상 집에 들어가보니 오래된 구축 썩다리 아파트라 인테리어를 해야겠다는 생각밖에 안들었다. 어쨋든 둘다 시간은 없고, 돈은 없어 카드 할부로 인테리어를 진행하기로 했고, 턴키 업체를 만나기 위해 대략 20개의 업체와 일정을 잡고 미팅을 했다. 집은 20평대 후반이고 집은 좁다고 생각해서 확장공사를 할 예정이었다. 또한 이전에 살던 집에서 보일러를 30도로 가동하여도 매우 추웠던 기억이 있어서 샷시는 좋은것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인스타, 블라인드를 통해서 인테리어 업체를 추천받았고 전화하여 주말마다 예약을 잡고 미팅을 했다.. 2022. 1. 28.
셀프 인테리어(셀인), 턴키 인테리어, 샷시 업체 선정부터 완공까지 - 일정(3) 인테리어를 진행할 때 전반적인 일정에 대해 서술해보려 한다. 내가 공사를 처음 시작하려 했을 때는, 일정에 대해 명확히 나와있는 곳도 없었고 유명 여러 카페를 봐도 정보의 홍수라는 말처럼 원하는 정보를 쉽게 정리하기가 힘들었다. 턴키로 진행한다면 일정고민이 필요없겠으나, 반셀프로 진행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할법한 일정을 공유한다. 반드시 이 일정대로 해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틀을 이렇게 잡고 공사를 진행하면 좋겠다. 1. 전체 일정 1일차 : 철거 2일차 : 철거 3일차 : 전기공사 4일차 : 샷시공사 5일차 : 설비공사, 확장공사 6일차 : 목공 7일차 : 목공, 전기 공사 8일차 : 목공 9일차 : 타일공사 10일차 : 타일공사 11일차 : 타일공사 12일차 : 도배 철거 13일차 : 도배 14일.. 2022. 1. 27.
셀프 인테리어(셀인), 턴키 인테리어, 샷시 업체 선정부터 완공까지 - 턴키와 셀프(반셀프)(2) 집을 매수해서 인테리어를 하기로 마음먹었으면, 인테리어를 할지말지 고민을 하게 된다.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신축 아파트에서도 인테리어를 하기도 하지만, 부동산 폭등으로 집을 간신히 매수한 사람들에게는 구축 아파트 고칠 여력도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부동산은 대부분 자신의 여력을 최대한 땡겨서 갈수 있는 가장 좋은 입지로 구매를 하게 되니깐.. 인터리어를 2개월간 턴키로 진행하면서, 인테리어 초기 진행에 앞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다음과 같다고 생각한다. 어쩌면 이 부분을 고민하지 않았을 때 인테이어 공사 중반에는 이미 늦었다. 1. 예산 2. 나의 시간 3. 입주 예정일 4. 공사 범위 (샷시 포함 여부) 5. 턴키, 셀프 또는 반셀프 1. 예산 대부분의 사람들은 예산을 두루뭉실하게 잡고 인테리.. 2022. 1. 26.
[스프링] JSTL에서 날짜 Date 추출 및 일자 연산 코드 JSTL에서 매번 날짜(Date) 데이터 처리할 때마다 햇갈려서 이렇게 남겨논다. 2022. 1. 15.
SI/SM 바닥에서 말하는 사이트(SITE)란 ? 본인이 삼성SDS, SK (구 SK C&C), LG CNS, 한화 시스템, 신세계I&C, 카카오 엔터테인먼츠 등 회사에 입사를 했다면 사이트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될 것이다. 내가 대학생 때 사이트라는 단어를 찾아봐도 그리 와닿지 않았고, 그것이 무슨 포지션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사이트((SITE) 이하 사이트) 란 무엇일까? 간단히 말해서 큰 범위로 보면 '고객사' 라고 될 것이며, 작은 의미로는 '고객사 내에 있는 근무지'로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쉬울 듯 싶다. SI/SM 관련 일 하는 회사는 고객사(삼성전자, LG전자 등 수주 주는 회사)에게 수주를 따서 일감을 받는다. 이름이 알려진 유명 큰 회사 외 에 작은 회사도 관련 업종이면 고객사가 있다고 보면 된다. (고객사가 없는 경우가 있나?) 고.. 2022. 1. 14.
[스프링]파일 다운로드 기능 개발할 때 한글이 안되는 경우 스프링에서는 인코딩이 참 고역이다.. 뷰어단의 인코딩, DB 인코딩, 서버단 인코딩들 고려할 것이 참 많은 것 같다. 이번은 내가 개발하다가 한글로 고생해서 나중에 해당 이슈 발생하면 사용하려고 기록을 남겨놓는다. String fileName = "생성할 파일 제목"; String encodeName = "utf-8"; response.setHeader("Content-Disposition", "attachment; filename=" + URLEncoder.encode(fileName, "encodeName")); 인코딩 몇은 대부분 utf-8이나 euc-kr 을 많이 사용할 것이다. 본인의 환경에 맞게 적절하게 넣어주면 된다. 2022. 1. 13.
반응형